네트워크_데이터 평면/제어 평면


데이터 평면 (Data Plane)

정의:
데이터 평면은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부분이다. 즉, 패킷이 한 라우터에서 다른 라우터로 전달될 때, 이 경로를 따라 실제로 **전달되는 트래픽(데이터)**을 처리하는 영역이다.

동작 원리:

  •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 라우팅 테이블(FIB, Forwarding Information Base)을 기반으로,
  • 해당 목적지로 패킷을 **포워딩(전달)**한다.
  • 처리 속도가 빠르고 하드웨어(ASIC 등)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특징:

  • 빠르고 단순하다.
  • 실시간으로 동작하며, 모든 패킷에 대해 작동한다.
  • 목적지는 제어 평면이 정해주고, 데이터 평면은 그 목적지를 따라 전달만 한다.

제어 평면 (Control Plane)

정의:
제어 평면은 어떤 경로로 패킷을 보낼지를 결정하는 라우팅 정책경로 계산을 수행하는 영역이다. 즉,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최적의 경로를 학습하는 두뇌 역할을 한다.

동작 원리:

  • 라우팅 프로토콜(OSPF, BGP, RIP 등)을 통해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한다.
  •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라우팅 테이블(RIB)**을 생성한다.
  • 이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데이터 평면이 사용하는 **포워딩 테이블(FIB)**을 갱신한다.

특징:

  • 상대적으로 느리고 복잡하다.
  •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 네트워크 상태 변화(링크 다운, 경로 변경 등)에 반응한다.

요약 비교

항목 데이터 평면 (Data Plane) 제어 평면 (Control Plane)
역할 패킷 전달 경로 결정
주요 기능 포워딩 라우팅 정보 계산
동작 대상 실제 사용자 데이터 라우터 간 제어 메시지
처리 방식 빠르고 단순 느리지만 복잡
구현 위치 하드웨어 중심 (FIB 사용) 소프트웨어 중심 (RIB 생성)

1. Per-router Control Plane (라우터별 제어 평면)

정의:
Per-router control plane이란, 각 라우터가 독립적으로 제어 평면 기능(예: 라우팅 결정, 경로 계산)을 수행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구조이다.

동작 원리:

  • 각 라우터는 라우팅 프로토콜(OSPF, RIP, BGP 등)을 통해 이웃 라우터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 자신만의 **라우팅 테이블(RIB)**을 계산한 후,
  • 이를 바탕으로 포워딩 테이블(FIB)을 만든다.
  • 제어 정보는 각 라우터 내부에 분산되어 존재한다.

특징 및 장단점:

  • 장점: 라우터 간 분산 구조로, 특정 지점의 장애가 전체에 영향 X
  • 단점: 관리가 복잡하고, 일관된 정책 적용이 어렵다

2.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 Plane (논리적으로 중앙집중형 제어 평면)

정의: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 plane은 **제어 평면의 논리를 하나의 중앙 컨트롤러(SDN controller 등)**가 담당하고, 각 라우터는 단순히 데이터 전달만 수행하는 구조이다.

동작 원리:

  • 모든 제어 결정은 중앙 컨트롤러에서 수행된다.
  • 각 라우터(또는 스위치)는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포워딩 테이블에 따라 데이터만 포워딩한다.
  • OpenFlow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중앙 제어기와 라우터 간 통신이 이뤄진다.

특징 및 장단점:

  • 장점: 중앙에서 모든 경로를 계산하므로 정책 일관성이 높고, 네트워크 전체를 쉽게 관리 가능
  • 단점: 컨트롤러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단일 실패점 가능)

Read more

Socket_1

Socket_1: 문자열을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소켓 프로그래밍 프로그램 설명 이 프로그램은 TCP 소켓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문자열을 서버가 받아, 해당 문자열을 아스키코드 리스트로 변환한 뒤,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양방향 통신은 문자열 기반이며, 서버는 수신한 문자열을 각 문자마다 ord()를 통해 아스키 코드로 바꾼다. * 통신 방식: TCP * 인코딩 방식:

By Youn

네트워크_Mobility

Mobility란? Mobility(이동성)은 네트워크에서 기기가 네트워크 위치(IP 주소 등)가 바뀌더라도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Mobility를 처리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 1. Routing이 Mobility를 처리하게 한다 (Network-based mobility) * 개념: 이동하는 호스트의 현재 위치를 네트워크가 추적하고, 그에 따라 패킷 경로를 동적으로 수정함 * 예시: Mobile IP * 홈

By Youn